이 블로그 검색

2023년 9월 5일 화요일

권성동이 열심히 뭘하네...

정선 카지노 문제로 감옥가야 하는거 아닌가...

검찰이랑 편 먹으니까 너무 편하네.

2023년 8월 29일 화요일

점심메뉴 고르기도 어려운 사람들 => 독후 짧은 생각 리스트.

 우리가 과거의 경험에서 기억하는 즐거움의 수준은 두 가지로 인해 결정된다. 

하나는 정점에 올랐을 때이고, 또 하나는 그 일이 끝났을 때의 느낌이다. 

카너먼의 정점—종결 법칙이다. 


정점은 뭔가 당연히 알고 있는 부분이고, 종결 부분이 중요하다. 한국 말에도 끝이 좋아야 좋다. 라는 말이 있는데 일맥상통하는 말이 아닐까 생각이 든다.

재미난 여행도, 끝이 가족들 간의 싸움이면 모든 것을 망친다. 항상 마무리를 잘할 필요가 있다. 

2023년 8월 24일 목요일

오염수 방류 문제??? 아니 일본말을 어떻게 믿냐고...

 그런 식으로 할거면, 


조선시대 때도, 명나라를 치러가는거니까 길만 빌려달라고 할 때 빌려줬겠지...


다른 나라가 서로 이권 다툼을 하는 조직들끼리 

성실히 자기 말을 수행할 거라는 믿음이 어디서 나오는거지...


아니 국힘이 민주당이 뭐 한다고 하면 믿냐고, 아니면 민주당은 국힘이 뭐 한다고 하면 믿어주냐고...



2023년 8월 9일 수요일

옛 유물: 컴퓨터를 적외선으로 조종해보자.(물건 주문)

웬지 모르게 가지고 있던 컴퓨터의 마더보드 헤더핀을 다 사용하고 싶은 마음이 든다.

microATX 보드를 사용하다보니, USB 헤더가 두개뿐이라, 케이스 전면으로 하나를 빼서 사용하고 있으며, 헤더를 백패널로 보내는 브라켓도 하나 사용하여 모든 USB Header를 사용하고 있다. (사실 하나를 더 설치하고 싶어서 열었다가 남는 핀이 없음을 확인했다.)

이제 남은 헤더들은 파워 LED 헤더가 여분으로 따로 하나 더 있으며, SPDIF Out Header가 하나, LPC/TPM1 헤더가 하나 존재한다. TPM 모듈도 gnupg에서 사용가능하기 때문에 사서 쓰고 싶으나, 13Pin인 TPM 1.0 모듈은 찾을 수가 없어 일단 포기한다. 

그리고 이 글의 주제가 되는 적외선 모듈 헤더가 남아있다. 


 위 그림과 같은 5Pin Header가 있는데, 이것을 곧바로 백패널로 보내는 딸판(Daughter board)나 브라켓 같은건 존재하지 않는다. 열심히 구글링을 해보았으나, 내가 직접 납땜을 해서 만들거나 너무 비싸거나, 작동이 될지 전혀 기대가 안되거나 하는 물품들 뿐이라. 

아래와 같이 아두이노용 송신기, 수신기 분리형 제품을 구매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토스 만보기로 열심히 벌은 1352원과 100원 한달 땡겨쓰기를 사용하여 결제를 방금했다. 

이제 이것이 오면, 내 컴퓨터가 HTPC가 될 수 있을까? 

이 짓거리가 상당히 미친짓인게 우리집에는 TV가 없어서 적외선 리모콘이 에어컨용, 선풍기용 밖에 없다. 

요즘 시대에는 핸드폰은 WIFI로 컴퓨터는 LAN으로 라우터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핸드폰을 사용하면 이런 것 없이 쉽게 조종할 수 있다. 

그렇다 뻘짓인 것이다. 이 뻘짓은 제품이 도착하면 계속하도록 하겠다. 

짧은글:아... 무슨, 임진왜란 시대인가 ?

 https://www.asiae.co.kr/article/2023080913530907554

英스카우트 "한국, 믿기지 않게 친절해…다가와서 사과와 감사도"



아이고... 아직도 의병들이 일어나야지만 나라가 굴러가냐... 

2023년 8월 8일 화요일

2023 국제물리올림피아드(IPhO) 한국대표단 종합 1위 달성을 축하합니다.

 https://www.kps.or.kr/content/community/post_view.php?bt=2&post_id=3197

주 내용은 위 기사를 참고합니다. 


2023년 제 53회 국제 물리올림피아드(IPhO)에서 한국 대표단 학생 5명 전원이 금메달을 받았다고 합니다. 

이번 대회는 일본이 주최국이며, 7월 10일 월요일 부터 17일 월요일까지, 도쿄의 올림픽기념청소년 센터에서 이루어졌으며, 

구체적인 순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https://ipho2023.jp/en/results-of-the-ipho2023-contest/


8등, 9등, 12등, 16등 17등이며 모두 금메달을 받았습니다. 37명까지 금메달을 받았으므로 매우 안정적인 성적을 받았음을 알 수 있습니다. 

13등인 미국 대표 Evan Kim Jr.도 한국계로 보입니다. 미국대표들 가운데 대부분은 중국계라서 한번씩 체크를 해봅니다. 취미 생활에 한국식 BBQ섭취가 있네요. 

각 학생의 성적을 보면, 이론은 28점에서 29.9까지 나옵니다.  그리고 모든 학생의 실험 성적은 10.3-11.9로 분포합니다.   이론문제는 한국학생 기준으로 난이도가 낮게 책정된 것으로 보입니다. 

이 난이도가 낮다는 말은 올림피아드를 준비하는 학생기준이며, 본인이 교수나 박사과정 석사과정이어도 어렵습니다. 저들만의 리그임을 기억합시다. 물론 IPhO나 APhO경험이 있는 사람이라면 할만했겠지요. 

실험문제는 어렵게 책정된 것으로 보입니다. 국제대회에 중국의 기치를 내걸기 위해서 박통시절 수준의 지원이 가능한 공산 독재국가의 소속이다보니, 중국 학생들은 이곳에 올인이 가능합니다. (우리 대한민국은 엘리트 교육을 혐오해하며, 대학 진학이라는 인생의 계급 선별식에서 미리 이탈하는 것을 용납하지 않기 때문에 올인할 수 없습니다. )

비교대상으로 삼지 않고 본다면 Fan Collin 미국학생이 실험에 대단한 재능을 가진 특별한 학생인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올해 대회 실험문제가 어떤 문제인지는 아직 보지 않아서 정확히는 말씀 드리기 어렵습니다만, 일단 컴퓨터 시뮬레이션 실험문제가 아니면 실험기구 구성하는데서부터 시간을 많이 잡아먹습니다. 

절대적인 난도라는게 존재한다면, 보편적으로 IPhO의 실험의 난도가 결코 이론보다 높지는 않습니다. 다만 많은 학생들이 실험을 경험하기 매우 어렵기 때문에  올해 성적을 보자면 만점에 가까운 이론과 달리 80%정도 선에서 그치는 게 정상입니다. 참고로 이론 20점 이상인 친구들은 물리 학부 3학년 정도의 수준을 30점에 가까운 학생들은 박사과정 수준의 지식을 가졌습니다. (지식 + 숙련된 문제풀이 능력)

올해도 참으로 대단한 학생들이 많이 배출 되었습니다. 정치적인 이유로 국명이 거세된 러시아 친구들도 5금으로 좋은 성과를 낸게 눈에 띕니다. 

중국친구들은 작년 다른 나라 학생들이 , 합산36점에서 시작할 때도, 45점을 받고 다 40점대 점수를 받더니 다른 나라 학생들이 41점부터 시작 할 때도 똑같네요. 난도와 상관 없이 일정한 결과를 낸다는건 시험대비해서 기출문제를 만드는 국가기관이 있는 걸까요. 참으로 무서운 국가입니다. 

매년 전세계 난다기는 애들 400명 가까이 모아서 그 중에서 20등안에 5명을 올리는 대한민국의 인재들이 물리가 너무 쉽다보니 또 진로문제로  의대와 공대로 많이들 넘어갑니다. 6년짜리지만 3년 반까지 줄일 수 있는 학석사 코스 같은 걸 만들어서 지식을 안정화 시키고 물리 기반의 인재들을 다른데 보내야 의대에서도 공대에서도 물리를 가지고 많은 일을 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뭐... 다른 곳으로 안 보낼 수는 없으니까요.

과학영재고등학교도 결국은 고등학교니까요. 고등학교에서 얻은 지식은 그 사람의 상식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상식은 삶을 풍요롭게 하지만, 직업, 직장으로 가져가는  그 사람의 기술과 특기는 되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고등학교를 입시의 지나가는 과정으로 생각하는 것은 과고 학생들이나 부모님들이나 다르지 않았던 걸로 저는 판단합니다. 

 시간을 아낄 수 있는 다양한 제도가 필요합니다.   간판 위주의 대한민국 사회가 쉽게 변할 것 같지는 않으니, 뭐 방법이 없네요. 의전원 같은 제도들의 목적이 다양한 경험을 가진 의료인을 키우는데 있는 것 같았습니다만, 사실 상, 패자 부활전으로 변형되었죠. 그리고 대한민국 사회는 2수 3수 4수는 용납하지만 패자 부활전은 극도로 혐오하는지 이런 제도들이 사라지네요. 

뭐 베스트는 의대를 안가도 잘 먹고 잘 사는 길이 있어야 하는 것이지만, 베스트는 감히 상상도 못하겠습니다. 뭐 서울대 전기전자공학부는 학생들에게는 이 길이 되는 것 같기는 합니다만 물리는 그런 취급을 받지 못하네요. 너무 좋아해서 오는 애들만 오게 되는데 방법이 필요하겠습니다. 

2023년 8월 7일 월요일

요즘 난리인 상온 초전도체 이야기를 좀 해볼까...

https://www.youtube.com/watch?v=1o7B_xzhI7Y



김범준 교수님은 기존 물리학적 관점에서 최대한 조심스럽게 이 문제를 다루셨는데 이 영상을 보다보니, 관련 내용들을 좀 알아볼 필요가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찾아보니, 1993년 과학동아에 고려대 화학과 최동식 교수님의 인터뷰가 있어 보게되었다. 

주 내용은 BCS이론이 주류가 되고 노벨상까지 타고나서 나머지 이론이 다 죽었는데, 고온초전도 설명 못하는데 물질 나왔으니까 쿠퍼의 페어 이론이 틀렸다는 것.

그래서 쿠퍼페어와는 다른 방식으로 엔트로피가 낮아야 하므로 집단 진동이론을 들었고, 자기와 같은 결론을 내린 사람이 또있으며, 1970년대 폴란드의 갈라스비치와 그 스승인 소련의 보골리보프(보골리우프라고 기사에 써있으나 보골리 보프 'B'BGKY 방정식의 첫번째 B )이며, 자기는 그 이론의 재발견이 아니라 한단계 더 나아갔다고 하면서 많은 이야기를 썼는데... 

그 다음에는 공돌이 마인드로 연구하겠다는 이야기와 끝에는 정치적인 이야기가 적혀있다. 부정적으로 보인다. 



음. 내가 공부하지 않은 부분에 대해서는 더 이야기할 수 있는 부분은 없고 단순히 권위에 기대어 쉽게 생각해보면

긍정적으로 볼 점은, 보골리보프 교수님과 같은 방향성이라면 이론을 살펴볼 필요가 있겠다. 근데, 이론은 지금 연구그룹이 서로 갈라져서 쏟아낸 논문마다 제각각 인거보면... 이 오랜 시간이 지나고서도 정리가 안되고 있는 것 같으니 오히려 70년대 동구권 논문에서 다시 시작하거나 그 후속 논문쪽을 추적하는게 낫지 않을까... 

부정적으로 보는 것은 마지막에 같이 연구할 만한 사람 리스트 가운데 


이번 연구 발표를 한 그룹에 속한 사람이  "논문 및 특허의 저자로 수록된 이석배김지훈, 권영완, 오근호, 김현탁, 그리고 퀀텀에너지연구소 구성원인 임성연, 안수민" 등 중복인 사람이 없다는 것이다. 
음 LK-99가 99년도에 나왔다고 하는데, 6년간 무슨 일이 있었길래 저 많은 사람들과의 관계가 끊어졌을까? 






그래도 초전도체면 좋겠다. 초전도 자석을 쓰는 NMR실험실을 많이 놀러갔는데, 실험기구의 규모가 어마어마하다. 상당 부분이 초전도 자석의 온도유지를 위한 액체헬륨 기구이다. 일단 근처에 한사람이라도 행복해지면 좋은게 아닐까... 뭐 자기부상열차는 어차피 어지러워서 못탈거 같은니... 저항 작은거라도 잘 활용하게 이거 진짜였으면 좋겠다. 

가장 많이 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