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블로그 검색
2019년 4월 17일 수요일
시스템 시작시(부팅시) 자동실행된 docker가 바로 실행되지 않는 문제를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
내가 있는 다체계물리연구실에서 오랜기간 동안, sun grid engine 구축을 노력해왔다. 수많은 시도가 있었지만 tftp를 이용한 diskless grid는 구축을 하지 못했지만, 결국에 유의미한 결과를 얻었다.
Ubuntu내에서 apt로 또는 fedora(오래된 과거)에서 rpm으로는 설치했을 때, 뭔가, 라이브러리의 버전관리 문제가 걸려서 아무일도 일어나지 않는다.
결국은 docker라는 툴을 이용해서, centos를 기반으로 구축을 완료했다.
문제는 각 서버를 재시작할 시, 자동으로 다시 실행되도록 셋팅을 해놓았으나, 그렇지 않는다는 것이다.
네트워크 작업이 귀찮아서, 내부의 docker가 22번 포트를 쓰도록하고, 디바이스는 다른 포트를 사용하도록 해놓은 탓에, ssh로 로그인을 하고, 다시 작업하기는 매우 귀찮다. 그것도 최근에 안 사실이지만 그 작업도, docker 명령을 실행만 하면 되는 작업이다.
이유를 알 수 없지만, docker명령이 최초 실행되기 전까지, docker daemon은 메모리에만 가상 시스템을 올려놓고, 실행은 되지 않고 있다.
지금은 컴퓨터가 작아서 하나씩 들어가서 docker ps 명령을 실행했다지만, 컴퓨터가 많으면 매우 귀찮은 작업일 것이다.
나만 그런가 싶어, 구글링을 해보니 docker에 가장 적합한 CoreOS에도 있는 Bug라고 한다. CoreOS에도 있다는 소리는 그냥 Docker의 버그로 보이며, 어떤 곳에도 원래 그렇게 작동한다는 이야기는 없다.
그래도 각 사람들이 알아서 해답을 찾았고 그 방법을 적용하였다.
그 방법은 정말 간단하다. 그냥 ... systemctl을 이용해 최후단에 단발로 작용하는 데몬 하나를(언어도단이지만) 띄우는 것이다.
[Unit]
After=default.target
[Service]
Type=oneshot
ExecStart=/usr/bin/docker version
RemainAfterExit=yes
[Install]
WantedBy=default.target
이 간단한 것을 생각지 못한다니, 참...유감이다.
뭐 그렇지만, 이전까지는 왜 docker가 올라와 있는데도 접속이 안되는지에 대해서 고민을 해왔으니, 제대로 문제를 파악한 기간이 짧았던 것으로 변명하면 되지 않을까...
2017년 11월 1일 수요일
linux terminal 창에서 날씨 정보를 그래픽으로 확인하기.
가입되어있는 유튜브 프로그램에서 배워왔다.
매우 간단하다.
curl wttr.in 을 하면 바로 날씨정보가 떠오른다.
이렇게 하면 IP주소를 근거로 그 주소에 해당하는 날씨정보를 주지만...
whois에서 알려주는거랑 여기 등록되어있는 지역명이 같지 않기에
not found/Korea로 어딘지는 모르겠지만 한국의 날씨를 알려주는데...
현재 서울날씨가 13-14도 인것을 27~28도로 알려주는거 보면 마라도???인건지 모르겠다.
그러므로 당신은 다음처럼 날씨를 확인할 수 있다.
curl wttr.in/~Seoul (서울의 날씨)
curl wttr.in/~Paju 파주의 날씨
curl wttr.in/~Paju+Beobwon 파주 법원리 주소를 검색해서 결과를 보여줌.
결과는 다음과 같다.
매우 아름답다. 훌륭한 웹페이지라고 할 수 있다.
2017년 9월 19일 화요일
클러스터나 슈퍼컴퓨터에서 계산한 파일을 가져오기와 관련한 데이터 압축이야기
나 같은 경우는 MD simuation을 하는데, 얻는 rawdata 중에는 입자의 d.o.f 만큼의 실수 정보와 자기 인덱스와 관련한 정보 등을 text형식인 것이 있다.
이런 것들이 입자수를 곱하고, 여러 시간의 스냅샷을 포함하다 보면 이 데이터의 양은 참으로 클 수 밖에 없다.
내 경우에는 이 데이터의 양이 한번 돌릴 때마다, 12GB나 되는 굉장한 양이 나온다. 그 중에 더미가 있어서 실제로는 8기가 가량 되는 것 같다.
이 데이터를 그대로 네트웍으로 받는다면 기가비트 환경에서 1분정도,
100메가비트 환경에서 10분정도를 최저로 잡고 소요되나, 같은 건물이 아닌 이상 저 속도가 나올리가 없다. 나 같은 경우는 대략 20메가비트 정도 나오면 잘되는 듯하는 상황이라, 이대로 받아버리면 안정적으로 계속 다운로드가 될 때, 50분이 걸린다. 1분이나 10분 정도는 충분히 잠시 일보고 오는 식으로 소비할 수 있는 시간이다. 그런데 50분이란 시간도 그럴까? 아닐 것이다.
그렇다면 방법은 압축을 해서 데이터량을 줄인 후, 방법을 사용해야 할 것이다. 그렇다면 어떤 압축툴을 사용해야 할까?
보통 보관용과 전송용으로 차이를 둘 수 있겠다. 압축이란건 투자한 시간만큼 공간을 줄일 수 있다. 보관용은 공간을 줄이는데 관심을 가진다. 적당히 시간을 더 투자하고 공간을 적정선까지 줄이는 것이 목표라면 bzip2으로 시작해서 좀 더 극단적인 부분까지 줄이는게 목표라면 xz(or lzma:7zip의 알고리즘 사용)를 사용하게 된다.
우리는 전송용이기 때문에 당연히 gzip을 사용하면 되겠다. 리눅스는 Archiving tool과 Compresion tool을 따로 두는식으로 문화가 형성되어 있어서 Archiving tool로는 tar를 사용하고, gzip을 사용하여 압축을 많이 한다. 이렇게 해도 보통 zip(pkzip)보다는 속도나 압축률면에서 우수하다고 한다. (근거달기는 귀찮다. )
대게 tar cvfz 압축파일이름.tar.gz 내역들
으로 그냥 사용하지만 문제는 data가 워낙 많아서 시간이 많이 필요하다는 거다. 그런데 기본으로 linux 배포판에 있는 gzip은 병렬로 계산하지 않기 때문에 이것도 한 세월 걸린다는 단점이 있다. (gzip bzip2 xz 모두 그러함)
하지만 이쪽 사람들은 필요하면 만드는 사람들이기에 찾으면 해당하는 툴이 있다. 나같은 경우는 pigz라는 툴을 사용한다. gzip의 이름을 섞어서 말장난 하는 식의 이름이지만 매우 훌륭하다. 압축알고리즘 자체가 병렬화 되는 것은 아니고, 압축을 할 때, 어차피 파일을 특정 사이즈 마다 쪼개서, 압축을 하니까? 쪼개진 부분을 여러 계산유닛들이 기존 알고리즘으로 압축을 하면 되는 방식이다.
그렇기 때문에, pigz를 컴파일해서 설치하는데는 root 권한 따위는 필요하지 않고, 필요한 라이브러리는 왠만해서는 서버에 있다. 이 친구들이 쓰는 헤더파일이 없으면, 루트가 제공하는 툴말고는 아무것도 못쓸 정도로 환경이 척박하므로 그냥 기대를 말고, 기존 루틴대로 살면 되겠다.
tar 명령어에 외부 압축프로그램 바로 지정하는 방식을 사용한다면,
tar -I pigz -cvf blah.tar.gz blah blah 압축하기
tar -I pigz -xvf blah blah blah 압축풀기
이런 식으로 사용하면 되고 귀찮고 하드공간이 넉넉하면 tar로 먼저 묶고
pigz로 압축 pigz -d로 풀기를 하면 되겠다.
압축하는 시간이 기존 싱글쓰레드로 8분가량 걸린다면 16노드인 서버에서는 30초 정도로 끝날테니 굉장히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수치해석 rawdata 전용 압축 툴이나온다면 압축률을 더 높일 수 있을 것 같으나, 그런건 없는 것 같고, 대략 압축을 하면 압축률이 42%정도 나온다.
파일이 작으면 이건 개 뻘짓이지만. 파일이 커서 굉장이 좋은 방법이 되었다.
기존 방법으로는 통으로 50분이 걸리던지, 아니면 21+압축시간 걸리던 것이 21+압축시간/nodes 로 시간이 확 줄어드어 쓸만해 진다.
음 대학교가 연구기관이라면 kist 같은 국가 연구기관들과 100Gb 네트웍으로 연결되고 내부망은 최소 기가비트 건물간은 10기가비트로 연결되어야 정상이 아닐까...?
건국대학교는 이과대학이 내부망이 아직 100메가비트이고, 연구기관들끼리 연결된것은 우회망이 없어서인지 이쪽 대역폭을 어떻게 나눠쓰는지 모르겠는데 너무 느리다. 빨리 좀... 어떻게 해주면 좋겠다.
아 그리고 이런짓을 할 필요 없이, rsync 나 scp에 압축 옵션이 있다.
그런데 scp는 이어받기 옵션이 없어서 배제 대상이 되고 rsync에 압축옵션을 넣어서 다운받으면 되겠다. 근데 이건 익숙하지가 않아서 전송용으로만 쓰고 있다.
그리고 데스크탑을 리눅스로 쓰는 나같은 리눅서는, 이쪽 철학을 지켜서 각 프로그램들의 기능을 최소화하고 서로 연결해서 사용하는 것이 심적으로 편하다. 그냥 이렇게 쓰도록 하자.
2017년 9월 14일 목요일
연구실 서버에 gridengine(구 sun grid engine)을 깔려다가 안되서 멘붕. 대신 로컬머신 task-spoler를 찾았다.
hostname이 이상해서 메세지가 제대로 안가서 안되는 줄 착각하다가,
결국은 원인을 발견했으나... 해결방법이 없다. 내가 만든 코드가 아닌데 제공해주는 패키지에서 segmentation fault가 나오니 방법이 없다.
디버그 패키지를 제공해주면 어디서 에러가 났는지도 확인이 가능하겠지만,... 별 도움되는 정보가 없다. core dump 읽어보니 무슨 명령어에서 일이 발생한건지는 알겠는데... 역시 소스를 까봐야 하는거고 내가 이거 까는거 하는 사람이 아니니... 참... 나중에 centOS 가상화PC에다가 구축을 해봐야겠다.
다른 주요한 클러스터들이 centOS쓰는건 이유가 있겠지...
패키지만 깔아도 되는 상태를 만드는게 목적일 것 같으니까...
저 sgmentation fault가 spool머시기에서 문제가 생기는 거라
관련검색어로 검색을 하다보니
로컬환경에서 일반 작업 spooling 하는 도구를 알게 되었다.
다른 컴퓨터한테 일시키는건 수동으로 할 수 있을 것 같고, 순차적으로 일을 하게하는건 이 친구를 사용하면 될듯...
일단 기본 사용법은 간단함.
일단 맨페이지를 보면
NAME
ts - task spooler. A simple unix batch system
SYNOPSIS
tsp [actions] [options] [command...]
Actions: [-KClhV] [-t [id]] [-c [id]] [-p [id]] [-o [id]] [-s [id]]
[-r [id]] [-w [id]] [-k [id]] [-u [id]] [-i [id]] [-U <id-id>] [-S
[num]]
Options: [-nfgmd] [-L <label>] [-D <id>]
DESCRIPTION
ts will run by default a per user unix task queue. The user can add
commands to the queue, watch that queue at any moment, and look at
the task results (actually, standard output and exit error).
요렇게 되어 있는데 tsp와 command 사이는 tsp의 옵션이고 command부터는 내가 할 작업을 넣어주면 된다.
액션과 옵션은 사실 tsp에게 주는 똑같은 파라미터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옵션은 command와 관련한 것이고
표준 입출력 파일을 만들거냐 말거냐(-n)
gzip으로 압축해서 내보낼거냐 (-g)
백그라운드 작업으로 안보내고 할거냐 (-f)
결과를 이메일로 보낼거냐 (-m)
작업에 라벨을 붙일까? (-L label)
전 작업과 관련이 있는데 잘 모르겠다. (-d)
id 옵션까지 주어서 같은 터미널에서 안해도 할수 있는드 (-D
작업이 꽉찾을 때, 원래는 대기하고 있으나 이 옵션을 쓰면
메인 리턴 값을 2로 주고 즉시 종료 된다. (-B)
와 같은 것들이 있는데 사실 -L옵션말고는 쓸일이 없을 것 같고,
액션쪽은 쓸게 몇개 있는데 일단 -S [num] 코어수를 정하는 옵션 등이다.
음 작업이 여러개 들어갈 때, 그리드엔진처럼 작업을 대기상태로 올려놓을 수 있는 거면 좋겠는데 저기위 설명을 봤을 때는 아닌 것 같아서 테스트가 필요할 듯...
10초뒤 수정 정보 ... 이거 개인 사용자들 압축 작업을 한다거나 하는 사람들이 쓰면 참 좋을듯...
Label마다 따로 slot수 지정하는 기능만 있어도 굉장히 행복할 수도...
2017년 4월 10일 월요일
linux 랩탑 사용중 wifi 연결 문제 - 비밀번호가 맞고 비밀번호가 틀렸다고도 안하고 접속이 무기한 안되는 문제
개인적으로 wpa_supplicant 등 cli 기반으로도 연결해보려 했고,
iwevent 등으로 message 들여다보면서 문제점을 찾아보려했으나...
계속 맥ide만 search만 하다가 끝난다.
iptime 공유기 message도 봤는데... 이 친구 log에도 접속시도 같은게
전혀 뜨지 않는다. iptime쪽에서 mac id 인증을 쓰거나...
wps스위치를 눌러서 인증을 해도 wpa(2) aes 방법을 병행했을 때는
아무런 신호가 안오간다... 쩌비.
도대체 누가 만든 문제인지는 잘 모르겠으나... 일단 내 lg gram은
intel칩 기반이니까... 이 친구가 문제 일 것 같지는 않다.
뭐 결국은 iptime firmware upgrade와 wpa_supplicant 간의 요상한
핀트가 안 맞음이 생긴건데... 해결방법은
wpa key에 원래 허용되는 a-zA-Z_0-9에서 그냥 0-9만 사용하는걸로 해결이 된다.
그러니까 조금만 환경이 맛이가면 좋은 보안인 wep->wpa로 와도...
0-9만 쓰기에 그냥 뚫리는 환경이 된다. 아놔...
인터넷 업체들이 제공하는 기기들을 보면 요즘 wpa2 personal + aes를
쓰지만 숫자만 가지고 초기비밀번호를 제공하는 경우가 많은데...
아무래도 이런 문제들에 대한보고가 있기 때문이지 않을까???
요약 해결법.. 비밀번호를 숫자만 사용하시오....
일단 해커들이 wep부터 뚫으려고 하니까 그정도 수준 보안만 기대하시고...
wpa를 무차별 대입방법으로 뚫지 않기를 간전히 기도하는게.... 좋을 것 같다.
피드 구독하기:
글 (Atom)
태그
- 1호차
- 3D
- 3g
- 간호사
- 결혼
- 공익근무
- 광고차단
- 국민의당
- 군대
- 그리드엔진
- 김현정의 뉴스쇼
- 날씨
- 당번병
- 댓글삭제
- 더민주
- 더불어민주당
- 데몬
- 도커
- 라이브리
- 러블리즈
- 무한재부팅
- 민주당
- 바람
- 베링거
- 베링어
- 병역
- 병역거부
- 보건
- 삼성
- 소나기
- 소셜댓글
- 슈퍼컴퓨터
- 신천지
- 썰
- 악보
- 압축
- 애드
- 애드블록
- 양호
- 에드
- 에드블록
- 역선택
- 연구실
- 오디 오인터페이스
- 오픈뱅크
- 왜곡
- 왜곡기사
- 외도
- 원클릭구매
- 유틸리티
- 이번주아내가바람을핍니다
- 인터넷언론
- 자막
- 적성 카페 빵집
- 전해철
- 정치
- 조선비즈
- 조선일보
- 조선biz
- 조형기
- 진상훈기자
- 차떼기
- 카카오
- 카카오스토리
- 컴퓨터
- 코로나
- 쿠키
- 크롬
- 클러스터
- 테스크스풀러
- 학교보건법
- 한탄
- 헌법재판소
- 헌재
- adapter
- aes
- Amazon
- Ardour
- Audio
- audio interface
- banking
- Behringer
- bundle
- bz2
- bzip2
- compositon
- coreOS
- curl
- daemon
- DAW
- dbus
- docker
- ethernet
- fedora
- g4
- gram
- gridengine
- gunzip
- gz
- gzip
- gzip2
- Heroes of Might and Magic3
- HOMM3
- HOTA
- interface
- iptime
- jack audio connection kit
- jackd
- jtbc드라마
- kdenlive
- ladspa
- LG
- lilypond
- linux
- LiveRe
- lmms
- lower
- LTC
- lte
- lv2
- lzma
- midi
- MOD
- modem
- MTC
- natron
- neobundle
- nvim
- one click
- Oneman Band
- OnTheGo
- open
- OTG
- pbzip2
- pigz
- plugin
- psk
- python
- qdbus
- quick-scope
- rsync
- scp
- sftp
- sge
- sim
- spool
- ssh
- tar
- task
- task-spooler
- terminal
- third
- ts
- tsp
- ubuntu
- UMC
- UMC202HD
- usb
- vfx
- video
- vim
- vim8
- VR
- vundle
- wifi
- WOG
- wpa
- wttr.in
- xz
가장 많이 본 글
-
리눅스에서 디스플레이 해상도 등과 관련된 패키지는 xrandr이다. xrandr을 통해 다양한 display mode를 체험할 수 있다. 지금 현재 사용하고 있는, 모니터는 DELL 2312HM으로 홈페이지상 스펙으로는 1920x1080 6...
-
과정 1. 열풍기로 후면 커버 한쪽을 가열한다. 권장 100도 30초. 2. 공기압 고정장치(?:화장실 벽 등에 고정시키는데 쓰는)로 후면커버에 고정시킨 후 들면, 후면커버에 부착된 점착제가 늘어나면서 공간이 생김. 그곳을 기반으로 벌리면서, 열풍기...
-
https://sca.coffee/sca-news/25/issue-13/towards-a-new-brewing-chart 원본은 위 주소로가서 보세요. 인터넷에 검색하면, 핸드드립에 물을 얼마나 써야하나요라고 검색하면, 다음과 같은 차트를 많이 만납...